2023 부모급여 지급시기 │ 신청 대상 │ 부모급여 지급 금액 │ 신청방법
2022년 8월19일 새 정부 업무 계획 발표에서 윤석령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부모급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발표 되었는데요.
![]() |
| 부모급여 지급액 |
기존 연령 0세의 자녀가 있다면 100만원을 지급하겠다는 공약이었지만 이번 발표에서 70만원으로 줄어 들었지만 대신에 만 1세 영아까지 확대해 35만원을 지급합니다.
다만, 내년후부터는 기존 공약대로 0세는 100만원 , 만 1세는 50만원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보다 자세한 부모급여 신청 대상 및 지급 금액 , 지급 대상 나이 , 지급시기에 대하여 아래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3 부모급여 지급시기 언제부터?
이번 발표 내용에서 확인해보면 2023년 1월1일부터 이 정책이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부모급여 지급 대상은 2023년 1월1일 출생한 영아부터 적용이되며 지급 금액은 2023년 1월은 만 0세부터 ~ 만 1세까지 1년간 매월 70만원씩 지급해 1년에 840만원을 받게되며, 만 1세 영아는 1년간 매월 35만원씩 1년간 420만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그리고, 2024년부터는 지급 금액을 확대해 만 0세는 매월 100만원씩 1년에 1200만원을 , 만 1세는 매월 50만원씩 1년에 600만원을 지급받게 됩니다.
2023 부모급여 신청 대상 2022년에 출산한 경우는?
2022년 올해 영아수당이라고 만 0세 ~ 만 1세 부모에게 30만원씩 지급되던것을 지급 금액을 늘리고 이름을 부모급여라고 바뀐것으로 적용 대상을 2022년 1월1일 이후 출생아로 한정한것을 고려해 2023년 새로운 제도로 적용될때 나이는 만 0세이지만 2022년도에 출생한 경우라면 부모급여를 지급받지 못하고 기존의 영아수당으로 30만원을 받을수도 있습니다.
부모급여를 받는 부모는 어떠한 자격이 있어야 하나요?
이같은 제도를 시행하는 이유는?
현재 대한민국은 저출산으로 인한 문제가 늘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저출산 문제는 경제적인 부담도 포함되고, 요즘 선호하는 추세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없이 살려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인데요.
예전에는 당연히 결혼을하면 출산은 당연한 시대였다면 지금은 나라 경제도 힘들고 아이를 키우면서 들어가는 돈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출산을 꺼려한다는 뉴스들도 많습니다.
또 한편으로는 경제적 여건이 되는 사람들도 아이 키울 걱정없이 살겠다는 사람들도 많이 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출산 문제를 정부에서도 심각하게 받아들여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는 이유에서 2023 부모급여라는 정책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저출산 관련해 현재 정부에서 시행중인 정책들
첫만남이용권 신청
용인 출산지원금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