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18일 토요일

청년도약계좌 가입기준과 받는돈 계산

청년도약계좌는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5년간 70만원씩 적금이나 주식 등에 투자할 경우 정부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주어 최대 5천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사이트 링크

청년도약계좌

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라는 걸 소개해드릴 거예요.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우리에게 돈을 모으고 투자하는 법을 가르쳐주고 도와주는 특별한 계좌입니다. 이 계좌에 5년 동안 매달 70만원씩 넣으면 정부가 우리에게 더 많은 돈을 줘서 최대 5,000만원의 큰 돈을 모을 수 있어요. 그리고 이 계좌에 넣은 돈은 세금도 안 내고 주식이나 채권 같은 것들로 투자할 수 있어서 더 빨리 늘릴 수 있어요.

정책뉴스 링크


어떻게 가입하죠?

그럼 이 계좌에 가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첫째로, 우리는 19살에서 34살 사이의 청년이어야 해요. 의무병역 기간은 빼준답니다.
  • 둘째로, 우리가 일하거나 사업을 해서 벌어오는 돈이 6천만원 이하이고 우리 가족들이 모두 합친 돈도 중간보다 적어야 해요. 소득이 아예 없으면 안되요.
  • 셋째로, 우리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에 하나를 골라서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신청하면 돼요.

주식형은 주식을 사고 파는 것이고, 채권형은 국가나 기업이 우리에게 빌린 돈을 갚아주는 것이고, 예금형은 그냥 은행에 넣어두는 것이에요. 각각 장단점이 있으니 잘 고르세요.

  • 청년도약계좌는 내년부터 시작될 거예요. 그래서 지금은 아직 신청할 수 없지만 준비해두면 좋겠죠? 이 계좌를 통해 우리는 큰 돈을 모아서 나중에 집을 사거나 창업을 하거나 여행을 가거나 할 수 있어요. 그러니까 열심히 돈을 모으고 투자하는 법을 배워보세요.

 

아무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신청이 되나요?

아무 은행이나 증권사에서 신청이 되는 것은 아니고,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할 수 있는 금융기관을 정부가 선정해줘야 해요. 그리고 그 금융기관은 적금상품을 취급할 수 있어야 하고, 안정적인 자산규모와 전산 인프라 요건을 갖춰야 한다고 해요. 청년도약계좌는 6월에 출시될 예정이니까 그때 어떤 금융기관에서 신청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에 대해서 좀더 설명해 주세요.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은 투자하는 자산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는 용어예요.

  • 주식형은 주식 또는 주식 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이고.
  • 채권형은 채권 또는 채권 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을 투자하는 상품이에요.
  • 예금형은 원금과 이자가 보장되는 상품이에요.

주식형은 수익률이 높을 수 있지만 위험도가 크고

채권형은 수익률과 위험도가 중간 정도이고

예금형은 수익률이 낮지만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엇을 선택하죠?

청년도약계좌에서는 자신의 투자 목적과 성향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예금형을, 단기적으로 고수익을 추구한다면 주식형을, 중간 정도의 수익과 위험을 감수할 수 있다면 채권형을 선택할 수 있어요. 물론, 상품마다 세부적인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가입하기 전에 잘 확인해보세요.

 

매달 70만원씩 넣으면 정부는 우리에게 얼마를 주나요?

만 19~34세의 청년이 5년간 월 40만~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월 2만1000~2만4000원을 지원해주는 구조예요. 매달 70만원씩 넣으면 정부는 월 최대 2만4000원을 주니까, 5년 동안 총 144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비과세 혜택도 있으니까, 투자 수익도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5년동안 144만원 지원으로 정말 5,000만원 모을 수 있나요?

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의 재산 형성을 돕기 위해 지원하는 상품이에요.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월 70만원씩 납입하고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으면, 5년 만기 시 원금 4410만원을 모을 수 있어요. 여기서 이자를 더하면 거의 5천만원이 됩니다. 이자율은 3년간 고정금리를 적용하고, 그 후 2년간은 변동금리를 적용할 예정이에요. 저소득 청년에게는 우대금리도 적용될 수 있어요. 아직 금리는 정해지지 않았어요.

 

만약 금리가 3% 라면, 간단한 계산을 해 볼께요.

매월 70만원씩 납입하고 정부에서 4%를 지원한다면 월 72800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원금은 연간 840만원이고 총 원금은 4200만원입니다. 이 금액에 고정금리 3%와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면 약 5년 후에는 총 약 4940만원이 됩니다. 따라서 고정금리가 3%라면 거의 5천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 월 납입금: 700000원
  • 월 지원금: (700000 * 0.04, 24000) = 24000원
  • 월 총 입금액: 700000 + 24000 = 724000원
  • 고정금리: 0.03
  • 월 복리 계산식: (월 총 입금액 + 이전 잔액) * (1 + 고정금리 / 12) 월 지원금 계산식: 월 총 입금액 - 월 납입금

예를 들어, 첫 달에는 월 복리 계산식이 다음과 같습니다.

  • (724000 + 0) * (1 + 0.03 / 12) = 726180원

이때 월 지원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724000 - 700000 = 24000원

두 번째 달에는 월 복리 계산식이 다음과 같습니다.

  • (724000 + 726180) * (1 + 0.03 / 12) = 1452723.6원

이때 월 지원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724000 - 700000 = 24000원

이런 식으로 계속 반복하면, 고정금리 기간 동안의 월 지원금은 항상 24000원이고, 월 복리는 점점 커집니다.

 

 

가족소득이 중간보다 적어야 한다는게 어느정도에요?

중간이라는 말은 가구 중위소득을 의미해요. 가구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을 낮은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해요.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은 가구 중위소득의 180% 이하이고, 4인 가족의 2023년 예상 중위소득이 5,400,964원이므로 중위 가구 소득 180% 이하는 월 9,721,735 원 이하이에요. 즉, 우리 가족들이 번 돈을 모두 합쳐 월 9,721,735 원보다 적어야 한다는 뜻이에요.

2023년 중위 소득기준 링크


*자세한 내용은 서민금융지원콜센터☎1397 문의

강남구청 채널추가
강남구청 채널추가


맺음말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과 주거안정을 위한 좋은 제도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가입 조건과 혜택에 대해 잘 알고 신청하셔야 합니다. 또한, 적금형과 투자형 중에 어떤 것이 본인에게 맞는지 고민하시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꿈을 이루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기제어를 시작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글

안녕하세요. 지햄스입니다. 나이가 들어도 할 수 있는 일을 찾다가 전기를 선택했습니다. 전기를 직업으로 선택하려고 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은지, 앞으로 가야할 길인 시설관리직, 자동제어직, 전기공사직의 세분야에 대한 설명과 전기를 처음 배우는 입장에서 ...